본문 바로가기

728x90

Progremming Study/python

Python dictionary 딕셔너리 -> 자료끼리의 관계를 지어줄 때 key 값 : value 값 (단어) : (뜻) # key 값으로 채택될 수 있는 값 -> 고정적인 값 (int, float, str, tuple) * 중괄호 사용 d1 = {} print(type(d1)) -> dict * 키 인덱싱 key값을 이용해서 value에 접근 (key값을 넣으면 value가 나옴) d1 = {1:'하나', 2:'둘', "3":'셋} print(d1[1]) -> 하나 print(d1[3]) # 자료형 주의 -> X print(d1['3']) -> 셋 # 키 인덱싱을 통해 value 값을 바꿀 수 있음 d1[1] = 'one' print(d1) -> [1: one, 2: 둘, '3': 셋] # 키 인덱싱을 통해 값을 매칭 시켰을 경우 .. 더보기
Python set자료형 set 자료형 * 중괄호 사용 s = set{} ex} s1 = {1,2,3,4,5} print(type(s1)) -> set * 중복이 없는 자료형 st = 'abcdac" print(set(st)) -> a, b, c, d # list와 set의 차이점 (중복이 다름) li = [1,2,3,4,5,3,2,2,1,1] for i in li : print(f'{i}의 등장 횟수 = {li.count(i)}') -> 1 3 2 3 3 2 4 1 5 1 3 2 2 3 2 3 1 3 1 3 for i in set(li) : print(f'{i}의 등장 횟수 = {li.count(i)}') -> 1 3 2 3 3 2 4 1 5 1 * 프로그램 실행할 때마다 다르게 나옴 (랜덤, 순서가 없는 자료형) (인덱싱을 .. 더보기
Python import import -> 다른 파일의 클래스, 함수, 변수 가져다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든 구문 ex) 파일1, 파일2가 있는 경우 파일2에 import 파일1 A = 파일1.Maple B = 파일1.add() C = 파일1.B 파일1에 있는 자료를 가져옴 * import 변형 from 파일 import 클래스, 함수, 변수 # from 뒤 표현은 생략 가능 from 파일1 import Maple A = Maple() from 파일1 import add B = add() or from 파일1 import Maple, add (0) * from 파일 import (from 다음 표현 생략 가능) from 파일1 import * - 함수, 변수 이름 신경 써야 함 - 가장 최근에 쓰인 것으로 적용이 됨 * as 별칭.. 더보기
Python class 클래스 -> 클래스는 객체 생성하기 위해 만듦 (함수 + 변수) A = classname() -> A라는 Classname의 인스턴스를 생성함 -> A는 객채 -> A Classname 클래스의 인스턴스 * 클래스의 용어 # 필드 : 클래스 안의 변수 # 메서드 : 클래스 안의 함수 # A는 객체, A는 모험가 class의 인스턴스 : O A는 인스턴스, A는 모험가 class의 객체 : X # 클래스의 첫 글자는 무조건 대문자로 써야 함 ex) A = Maple() -> 클래스 B = add() -> 함수 * 생성자 -> 객체가 만들어질 때 기본적으로 실행되는 함수 def_init_(self): * 소멸자 -> 객체가 소멸될 때 기본적으로 실행되는 함수 def_del_(self): *** pip pip.. 더보기
Python 함수 함수 ->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코드 집합 INPUT (x) > FUNCTION f : > OUTPUT f(x) 입력값 x > 기능 구현 > 반환 값 Y # 입력값 = argument = 파라미터 = 인자 (같은 뜻) # 함수는 선언(정의)하는 부분, 사용 부분이 있음 # 함수는 사용되기 전에는 의미가 없음 # return은 0개일 수도 반복되어 쓸 수도 있지만 함수를 사용하면 끝 # 함수를 볼 때 기능, 반환을 잘 구분해야 함 - 반환값이 없는데 기능을 한다면 NONE이 출력됨 * 함수 선언 def [ 함수의 이름 ](입력값 1, 입력값 2,... ) : [ 기능 구현 ] return [ 반환 값 ] ex) def add(a,b) : num = a + b return num x = 10 y = 20 p.. 더보기
Python 문자열 _ formatting ' '.format(자료) 변수를 문자열에 나타낼 때 주로 사용 문자열 안에 빈칸을 뚫어주고, 괄호 안에 빈칸에 들어갈 값을 넣어줌 ex) a = 'hello{}'.format('world') -> hellowolrd 1. 서식 문자 표기법 정수형 자료가 들어갈 곳 %d 실수형 자료가 들어갈 곳 %f, 문자열 자료가 들어갈 곳 %s print('%d x %f = %s(imjmi*j)) 2. 문자열 format 함수 사용 들어갈 자리 {} print('{} x {} = {}'.format(i,j,i*j)) 3. f string 사용 {} 뚫어주고 즉시 매워줌 print(f'{i} x {j} ={i*j}') 더보기
Python 문자열 문자열 또한 순서가 있음 -> index 개념이 존재함 -> for 문에 활용 가능 # 자료형에 따라 반복 횟수가 달라짐 ex) 1) a = 'hello world' a[0] : h a[5] : ' '(공백) 2) 문자열 for i in 'hello': h e l l o 3) 리스트 for i in [hello]: hello * 표현 해석할 때 자료형 기본단위 str 문자 list, tuple, set 자료 dict 키 1. for 에서 i 2. len() > 기본단위 개수 3. in 멤버연산자 > bool 반환 # in 멤버연산자 기본단위 in iter iter에 기본 단위가 존재 O : True 존재 X : False 더보기
Python 문자열 _ replace 문자열. replace('a', 'b') -> 문자열 안의 a를 b로 바꿈 -> for문 사용 가능 ex) 1) a = 'hello'. replace('l', 'p') print(a) -> heppo 2) a = '(I am a student~~!)' a = a.replace('(', '') a = a.replace('~', '') a = a.replace('!', '') a = a.replace(')', '') print(a) -> I am a student # for문을 사용하면 좀 더 간결하게 사용 가능 for i in '(~!)' : # 문자열로 입력 ', '가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 (콤마도 바꾸는 문자로 인식) a = a.replace(i, '') print(a) -> I am a student.. 더보기

728x9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