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728x90

Progremming Study/python

Python 제어문 _ 반복문 _ 복합 연산자, factorial 프로그램 복합 연산자 -> 연산과 할당을 합쳐 놓은 것 -> 식을 간결하게 사용 가능 # 기존에 a(su) 값이 세팅되어야 함 ( 연산에 지장을 주지 않는 것으로 예) +,- = 0, *,/ = 0 ) i = 'ab' a = 2 a += 3 : a = a + 3 a -= 4 : a = a - 4 a *= 2 : a = a * 2 a %= 4 : a = a % 4 a /= 5 : a = a / 5 a //= 3 : a = a // 3 a **= 4 : a = a ** 4 li += 'c' : a = li + 'c' li *= 4 : a = li + 4 ex) 1~5까지 합 구하기 su = 0 # su 값을 설정, 0은 합에 지장을 주지 x for i in [1,2,3,4,5] : su += i print(su) 1.. 더보기
Python 제어문 _ 반복문 _ range() range ([start:0], stop, [step:1]) -> star부터, stop전까지 step을 적용하여 리스트로 반환 (step : 증감) # start, step 생략 가능함 # 앞에 range를 생략할 수 없음 (생략 시 리스트가 아닌 튜플로 실행 : 자료 변환 X) # 실행할 수 없는 식을 넣을 경우 리스트는 빈 값 [ ] 으로 출력 ex) range(100) : 100 한개만 있으므로 stop!, 0~99까지 range(1,20) : 2개 있으므로 1은 start값, 20은 stop!, 1~19까지 range(1,11,3) : 3개 있으므로 1은 start, 11은 stop, 3은 step!, 1, 4, 7 N 값을 입력받고 1부터 N까지 출력 N = int ( input ( ' 입력:.. 더보기
Python 제어문 _ 반복문 _ 리스트 함수들 list 함수들 li = [1,2,3] 1. 자료 추가 리스트. append(x) - x라는 자료가 맨뒤에 추가 li.append(10) print(li) 2. 자료 추가(원하는 위치) 리스트. insert(idx, x) - x를 idx인덱스에 추가 li.insert(1, 'hello') print(li) 3. 자료 삭제 및 반환 리스트. pop(idx) - idx 인덱스의 자료를 제거 (default 맨 뒤) x = li.pop(2) print(x, '가 삭제된 리스트', li) 4. 자료 개수 세기 리스트. count(x) - 리스트 안의 x의 개수를 반환 li1 = [1,1,1,1,1,1,11,11,11,1,1,11,11,] print(li1.count(1)) 5. 특정 자료의 인덱스 구하기 리스트.. 더보기
Python 제어문 _ 반복문 _ for , 인덱싱 반복문? 1. for문 : 반복 횟수 명확 O 2. while문 : 반복 횟수 명확 X for문 for [ ] in [ ] : [ 종속 문장 ] # ',' 를 사용하여 묶어줌 ex) for i in [1,2,3,'s',True] # 리스트 자료형 for i in (1,2,3,'d',True) # 튜플 자료형 반복문과는 무슨 관계? interable 하다 str, list, tuple, set, dict for [ 반복문에서 사용될 변수 ] in [ interable 자료형 ] : [ 종속 문장 ] # 반복 횟수 : 자료형이 크기만큼 종속 문장 실행 # 반복문에서 사용될 변수 : 자료형 내 자료들 ex) for i in [1,2,3,4,5] : print(i) 1 2 3 4 5 li = [1,2,3,'he.. 더보기
Python 제어문 _ 조건문 _ 비교 연산자, 논리 연산자 비교 연산자? -> 참, 거짓을 반환 ex) a = 10 print ( a > 0 ) : True # 크다 print ( a = 4 ) : True # 크거나 같다 print ( a c == '*' or 'x' or 'X' : 단, 이렇게 쓸 경우 어떤 문자가 와도 *를 사용함 논리 연산자는 한쪽만 True가 되면 전부 True이기 때문 -> c =='*' or c =='x' or c=='X' 위의 코드로 작성했을 경우 *, x, X의 경우만 *를 사용함 * 연산자 우선순위 산술 연산자 > 비교 연산자 > 논리 연산자 *, / > +,- > 비교.. 더보기
Python 제어문 _ 조건문 _ bool 제어문? -> 프로그램의 흐름을 제어함 1. 조건문 2. 반복문 # print를 어디에 종속 문장으로 쓰이는지 여부에 따라 출력이 다름 조건문의 종속문장 : 실행 유무 반복문의 종속문장 : 반복 횟수 조건문? -> ~라면, ~가 아니라면 Python에서 사용되는 자료의 형태 -> Bool : True, False를 나타내는 자료형 # 숫자 자료형의 경우 0 and 0.0의 경우 False # 문자열 자료형의 경우 ""의 경우 Fasle (단 " ", 따옴표 안에 띄어쓰기는 True) # Python의 경우 True, False의 첫 글자는 대문자 if [ Bool ] : -> Bool의 값이 참일 때 실행되는 종속 문장 # : 의 의미 : 다음에 오는 문장은 현 if의 종속 문장임 # 종속 문장은 띄어쓰.. 더보기
Python 입력 입력? input ( 문자열 ) -> 문자열을 화면에 출력하고 입력이 들어올 때까지 기다림, 입력이 들어오면 해당 값을 반환 print(input('')) -> input('')만 입력 시 출력 X a = input (문자열) -> 문자열을 화면에 출력하고 입력이 들어오면 해당 자료를 a변수에 대입 ex) name = input('이름: ') age = input('나이: ') mail = input('메일: ') print (name, age, mail) # input은 문자열로 인식함(숫자 인식 X) => 형 변환 필요 형 변환? -> 자료의 형태를 자료형으로 바꿈 자료형(자료) str() int() float() # a = int (input(' ')) => 문자열을 정수형으로 바꿈 # input은.. 더보기
Python 연산자 _ 산술 연산자 연산자? -> 피연산자 ___ 피연산자 ( ___ 부분에 해당하는 것 ) -> 자료형마다 연산자의 기능이 다름 연산자 종류 8가지 * 산술 연산자 * 할당 연산자 * 삼항 연산자 * 비교 연산자 * 논리 연산자 * 항등 연산자 * 멤버 연산자 * 비트 연산자 산술 연산자 -> 계산을 위한 연산자 -> 숫자 자료형의 연산자 # 숫자 0으로는 나눌 수 없음 # 변수에서 연산을 정수에서 문자열로 변경할 경우 (밑의 경우 외에는 에러) - 문자열 + 문자열 : O - 문자열 * 숫자 : O + : 더하기 - : 빼기 * : 곱하기 / : 나누기 (실수가 나옴) // : 몫 % : 나머지 ** : 제곱 ex)숫자 자료형의 경우a = 20b = 5print(a+b)print(a-b) print(a*b) print(.. 더보기

728x9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