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728x90

Progremming Study/python

Python 문자열 _ split split -> 문자열일 경우에만 가능 -> 특정 패턴이 있는 경우에 사용 가능 -> 특정 기호를 기준으로 자를 경우, 결과는 '문자열들의 리스트' # ~, !, , \, -, ?, ', " 문자열. split() # split() -> 공백, 이스케이프 문자 기준으로 의미 있는 단어들만 잘라줌 -> split(' ') 공백으로 자를 경우, 이스케이프 문자, 공백까지 전부 출력됨 ex) 1) e로 끝나는 영단어는 몇 개? st = '''... ''' s = 0 for i in st.split() : if i [-1] == 'e' : s += 1 print(s) 2) a = '''동해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닳도록''' print(a.split()) -> [ '동해물과', '백두산이', '마르고', .. 더보기
Python 문자열 _ 슬라이싱 슬라이싱? -> 문자열에서 원하는 부분만 잘라오기 -> 특정 패턴이 있는 자료를 처리할 때, 주로 사용 -> index 있는 자료형은 모두 가능 자료[start : stop : step] -> start 부터 stop -1까지 지정 ex) a = '12345678' print(a [1:5]) -> 2345 print(a [:4]) -> 1234 print(a [4:]) -> 5678 # step 생략 가능 - 1씩 증가 # start 생략 가능 - 0부터 시작 # stop 생략 가능 - start부터 마지막까지 # 리스트에서도 슬라이싱 가능 리스트로 슬라이싱 할 경우 결과는 리스트 ex) li = [10,20,30,40] print(li [:3]) -> [10,20,30] print(li [2:]) ->.. 더보기
Python import _ random, time, os import random -> random의 기능을 가져온다 random.randint(A, B) -> A부터 B까지 랜덤 수 반환 ex) import random random.randint(1,9) -> 한자릿수 중 랜덤 수 반환 import time -> time의 기능을 가져온다 time.sleep(X) -> X초만큼 코드를 잠시 멈춤 ex) import time time.sleep(0.5) -> 0.5 초 만큼 코드를 잠시 멈춤 import os -> os의 기능을 가져온다 os.system('cls') -> 화면을 갱신해줌 ex) import os os.system('cls') # input('\n\n [ENTER]') -> ENTER를 치면 화면을 갱신해줌 더보기
Python isnumeric isnumeric 함수 문자열 . isnumeric () -> 문자열안에서 숫자를 판별 # 문자열이 숫자로 이루어져 있을 경우 : True # 문자열안에 문자가 있을 경우 : False ex) 문자열에 숫자가 입력되었을 때 > 리스트에 담아줌 문자열에 문자가 입력되었을 때 > 종료 시그널 문자열에 다른 문자가 입력되었을 때 > 숫자를 입력하라고 안내 li = [] while True: n = input('입력(종료 q):') if n.isnumeric(): # 숫자 입력시 li.append(int(n)) else: # 문자 입력시 if n == 'q': print('프로그램 종료') print(sum(li)/len(li)) break else: # 다른문자 입력시 print('숫자 입력') -> 바로 종.. 더보기
Python 제어문 _ 반복문 _ while, while True while wile Bool : [ 종속 문장 ] -> Bool 값이 참일 때 동안 종속 문장 반복 -> 반복의 의미가 강함 (반복 간 변하는 값은 일일이 지정) ex) i = 1 while i 1, 2, 3, 4, 5, 6, 7, 8, 9 # i가 True 일 때 출력 후 다시 조건으로 돌아가 False가 나올 때까지 반복 # 조건 -> 종속 문장 -> 조건 -> 종속 문장 -> 조건 while True : [ 종속 문장 ] -> 무한 반복문으로 주로 사용 (무조건 True이므로) -> 반복 횟수 제한이 없을 때 주로 사용 -> 종속 문장 안에서 특정조건이 달성되면 반복문을 나가도록 (break사용) ex) # while True에서 break 사용 li = [] while True: n = int(i.. 더보기
Python 제어문 _ 반복문 _ break, continue 반복문 탈출? break - 반복문 안에서만 사용 가능 - 가장 가까운 루프 하나 빠져나감 ex) for i in range(10): print(i) if i == 2: break -> 0, 1, 2 * else가 for문의 종속 문장이 아닌 경우 for i in range(1,11): if i % 2 == 0: print(i,'짝수') break else : print(i,'홀수') -> 2 짝수 # for문이 완전히 돌아가면 else 부분 실행 # break를 만났을 경우 else는 실행이 되지 않음 continue - 제일 가까운 반복문을 계속 진행시킴 - 조건에 해당하는 부분을 넘기고 다음 것을 계속 실행 ex) for i in ['a', 'b', 'c', 'd']: if i == 'a': con.. 더보기
Python 문자열 포맷팅 문자열 포맷팅 for i in range(2,10) : for j in range(1,10): print ( i, '*', j, '=', i*j ) 1. 서식문자 표기법 # 구식, 비추 정수들어갈 자리 %d, 실수 %f, 문자열 %s print( '%d x %d = %d' % (i, j, i*j)) 2. 문자열 format 함수 사용 들어갈 자리 {} print ( '{} x {} = {}'.format(i,j,i*j)) 3. f string 사용 # 많이 사용 {} 뚫어주고 즉시 매워줌 print( f'{i} x {j} = {i*j}' ) 더보기
Python 제어문 _ 반복문 중첩 반복문의 중첩? -> 반복문안에 반복문 (종속 문장에 반복문이 존재) # 외반복문 : 겉에 있는 반복문 # 내반복문 : 종속 문장 위치에 있는 반복문 # 외반복문 더보기

728x90